우리 민족 최대의 명절 중의 하나인 단오에 대해 알아보자.
단오는 음력 5월 5일에 지내는 세시풍속이자 우리 민족의 최대 명절 중의 하나로 꼽히고 있다. 순한국어로 '수릿날'이라고도 한다. 설날, 한식, 추석과 함께 한국의 4대 명절로 꼽히고 있다. 음력 5월 5일쯤은 무더운 여름이 오기 전 여름의 초입에 있는 시기로 모내기를 끝내고 풍년을 기원하는 시기이다.
단오의 유례는 중국 초나라 회왕때 굴원이라는 충신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고 있다. 굴원은 충성스러운 신하였는데, 간신들이 늘 그를 시기 질투 하였다. 회왕이 승하한 후 양왕이 임금에 오르자 간신들이 그를 모함해서 귀양을 보냈다. 억울하게 삶을 살아가던 굴원은 초나라가 망하자 정신적인 충격을 받고 ' 어부사'등 다양한 글을 지은 후 큰 돌을 안고 멱라수에 빠져 죽었다고 한다. 사람들은 그의 자살을 슬퍼하며 해마다 그를 기리기 위해 대나무통에 쌀을 넣고 소테나무 잎을 감아 물속에 던져서 그의 혼을 달래주었다고 한다. 그리고 굴원을 혼을 건진다 하여 배 건너기를 하기도 했다고 한다. 그때가 음력 5월 5일이었다. 이런 풍습이 우리나라에 전해지면서 이것이 단오가 되었다는 유례가 있다. 우리나라는 마한 시기 때부터 파종이 끝난 5월에 사람들이 모여서 하늘에 제사 지내고, 가무와 음주를 즐겼다는 기록이 전해지고 있다.
단오는 음력 5월5일을 이르는 말인데, 수릿날, 천중절, 오월절, 중오절, 술의 등이 있다. 그중에서 가장 대중적인 이름이 단오이다. 단오에 여자들은 예쁘게 단장을 했는데, 이것을 단오장이라고 했다. 단오장은 창포를 넣은 삶은 물로 머리를 감는 것으로 시작된다. 창포의 독특한 향이 나쁜 귀신을 몰아내고 창포물로 머리를 감으면 머리에 윤기가 나고, 머리카락이 빠지지 않는다고 한다. 단오날 대표적인 민속놀이는 그네 뛰기와 씨름이 있다. 여자들은 그네뛰기를 하고, 남자들은 씨름을 한다. 단오는 더워지기 시작하는 시기로, 더위를 물리치기 위해 부채를 많이 사용했다. 우리 풍속에 '단오 부채는 관원이 아전에게 나누어 주고 동짓날의 달력은 아전이 관원에게 바친다'는 말이 있다. 그래서 단오 부채는 상급자가 하급자에게 나눠주는 선물이었던 것 같다.
단오에는 수리취떡, 앵두화채, 제호탕을 만들어 먹었다. 수리취는 높은 산에서 자라는 식물인데, 산나물의 왕으로 불리고 있다. 그만큼 영양이 많다는 의미이다. 단오 때는 앵두를 제철과일이라고 보고 수확한 앵두를 조상에게 바치고 제사를 지내는 단오절사를 하기도 한다. 궁중에서는 임금을 가까이 모시는 신하들에게 앵두를 나눠주는 풍습도 있었다고 한다. 제호탕은 여러가지 한약재를 곱게 갈아 꿀을 넣고 끓인 청량음료 일종으로 여름철 기력을 보강하는데 도움을 준다고 해서 임금님께 바치기도 했다고 한다.
댓글